가정용 태양광 발전 3KW 발전기 – 태양광 발전량 분석 (2023.10 ~ 2025.04)

 

태양광 발전량 분석 (2023.10 ~ 2025.04)

개요

약 1년 6개월 동안의 주간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계절적 패턴, 최대/최소 발전량, 연도별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이 분석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을 이해하고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요 발전량 통계

전체 발전량 통계

  • 최대 발전량: 129.10 kWh (2024년 5월 3주차)
  • 최소 발전량: 28.45 kWh (2023년 12월 마지막주)
  • 전체 평균 발전량: 74 kWh/주

계절별 평균 발전량

계절 평균 발전량 (kWh)
봄 (3-5월) 99
여름 (6-8월) 91
가을 (9-11월) 62
겨울 (12-2월) 57

월별 평균 발전량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3 58 58 38
2024 57 59 88 99 114 107 71 96 74 66 53 56
2025 54 77 94 102

 

연도별 발전량 비교 (2023-2024년 vs 2024-2025년)

2023-2024 (kWh) 2024-2025 (kWh) 증감 (kWh) 증감률 (%)
10월 58 66 +8 +13.8%
11월 58 53 -5 -8.6%
12월 38 56 +18 +47.4%
1월 57 54 -3 -5.3%
2월 59 77 +18 +30.5%
3월 88 94 +6 +6.8%
4월 99 102 +3 +3.0%

분석 결과 요약

계절별 패턴

  • 봄철(3-5월): 가장 높은 발전량을 보이며, 5월에 최대 발전량 기록
  • 여름철(6-8월): 두 번째로 높은 발전량을 보이지만, 7월은 장마 등의 영향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
  • 가을철(9-11월): 중간 수준의 발전량을 보이며, 10월부터 점차 감소
  • 겨울철(12-2월): 가장 낮은 발전량을 보이지만, 두 번째 해에는 개선됨

연도별 발전량 변화

  • 겨울철 성능 개선: 12월 발전량이 47.4% 증가하고, 2월도 30.5% 증가하는 등 겨울철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됨
  • 안정적인 봄철 성능: 3월과 4월은 두 번째 해에도 안정적으로 높은 성능 유지
  • 상반된 가을철 추세: 10월은 증가한 반면, 11월은 감소하는 상반된 추세

주목할 만한 발견

  1. 봄철과 여름철의 발전량이 가을과 겨울에 비해 약 1.6배 높게 나타나며, 이는 일조량과 일조 시간의 영향으로 분석됨
  2. 최대 발전량(129.10 kWh)과 최소 발전량(28.45 kWh) 사이에는 4.5배 이상 차이가 있어 계절에 따른 발전량 변동이 매우 큼
  3. 두 번째 해에는 대체로 발전량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겨울철 발전량이 크게 향상됨
  4. 5월은 두 해 모두 가장 높은 발전량을 기록하여 태양광 발전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확인됨

활용 방안

에너지 계획 수립

  • 계절별 발전량 예측을 통해 에너지 수급 계획 수립
  • 최소 발전량 시기(12월)에 대비한 에너지 저장 또는 대체 에너지 계획 마련

시스템 성능 평가

  • 연도별 발전량 비교를 통해 시스템 성능 개선 여부 평가
  • 특정 계절/월의 발전량 추세 분석을 통한 시스템 이상 감지

경제성 분석

  • 계절별 발전량 데이터를 활용한 태양광 설비 투자 회수 기간 예측에 참고
    (실제 태양광 설치 후 전기요금 최대 발생이 약 4~5천원 수준으로 2회 밖에 없었음. 그 외 모두 0원)
  • 실제 발전량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경제성 분석 가능

결론

1년 6개월 간의 데이터 분석 결과, 태양광 발전량은 계절과 월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연도별로 발전 효율이 개선되는 추세를 확인했습니다. 특히 봄철(3-5월)이 가장 높은 발전량을 보이고, 겨울철(12-2월)이 가장 낮은 발전량을 보이지만, 두 번째 해에는 겨울철 발전량도 상당히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과 에너지 계획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